[Nginx] certbot으로 ssl 인증만료 자동화 하기
·
프로젝트
문제상황 프론트 팀원으로부터 어느 날부터 swagger 접속시 해당 화면이 뜬다는 이슈가 들어왔다. 확인해보니 해당 문제 기존의 ssl 인증서가 만료되어서 발생한 일이었다. 근데 나는 certbot으로 기존에 인증서 만료되기 전 자동 갱신을 구현해두었는데..?   무엇이 문제인지 다시 살펴보도록 하자. ssl 인증서 발급 방법에 따른 자동화 가능 여부certbot 을 이용한 인증서 발급 방법은 아래와 같이 크게 5가지 방법이 존재한다.webserver(--nginx, --apache) 옵션을 통한 인증서 발급webroot(--webroot) 옵션을 이용한 인증서 발급standalone(--standalone) 옵션을 이용한 인증서 발급수동 인증 (--manual) 옵션을 이용한 인증서 발급DNS 인증 (..
[Swagger] blocked:mixed-content CORS 해결
·
프로젝트
Https를 달고 나서부터 프론트 팀원에게 swagger에서 CORS 에러가 발생하기 시작한다는 문의가 들어왔다.  요청을 다시 살펴보니 blocked:mixed-content 라는 Status 코드가 떠있었고, 이는 http https 간 통신이 이루어지면 발생하는 에러였다.   실제로 접속 url은 https://[도메인] 이었고 요청을 전송하는 url은 http://[도메인] 이었다.  위와 같이 프론트 개발자가 원하는대로 url을 선택할 수 있게 하자.  하지만 dev환경과 prod 환경의 도메인이 다르므로 2개의 환경에서 swagger는 각자 자신의 맞는 도메인을 띄워줘야한다.  요구사항1. swagger에서 원하는 url을 선택할 수 있어야한다.2. 각 dev와 prod 도메인으로 swagg..
[Nginx] Nginx로 정적 파일 서빙을 통한 웹 페이지 로딩 시간 개선
·
프로젝트
고민의 시작프론트 팀원이 다음과 같은 이슈를 들고 왔습니다. "LightHouse를 통해 성능 검사를 해봤는데 웹 페이지 리소스가 9.7MB가 나왔어요""로컬에서 build하면 2.7MB인데 차이가 꽤 나네요. 로딩 속도도 더 느린것 같구요"LCP(Largest Contentful Paint) 및 페이지 성능 문제LCP란?LCP는 웹 페이지의 주요 콘텐츠(텍스트, 이미지, 비디오 등)가 사용자 화면에 렌더링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지표로, 로딩 성능의 핵심 지표 중 하나를 이야기합니다. 우리의 문제점  Lighthouse로 측정한 결과, 우리의 LCP는 10.99초로 평가되었으며 이는 POOR 등급에 해당했고 개선이 필요해보였습니다. LCP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구글에 의하면 LCP 지표에 영향을 미치는..